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예시로 이해하는 고배당 커버드콜 ETF 'JEPI(제피)' 활용법

by 그레이뜨 2024. 2. 24.
반응형

박곰희 TV <JEPI 속에는 뭐가 있길래 배당을 저렇게 많이 줄 수 있는 걸까?>로 공부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JEPI 제피란?

J.P. 모건에서 만든 ETF입니다.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의 앞글자를 따서 JEPI (제피)라고 불립니다.

 

JEPI 제피 구성 종목

JEPI 제피는 80%는 주식, 20%는 S&P500과 연계된 ELN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LN은 주가연계채권 (Equity-Linked Notes)을 의미합니다. S&P500과 연계된 ELN 상품은 간단히 말해 콜매도라고 보면 되는데요. 이렇게 주식과 콜매도를 같이 하는 것을 '커버드콜'이라고 합니다. 제피 JEPI는 대표적인 커버드콜 ETF입니다.

커버드콜 (Covered Call)이란?
콜=콜옵션을 의미합니다. 콜옵션은 쉽게 말해 무언가를 싸게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하는데요. 향후 가격이 오를 물건을 그때 가서 싸게 살 수 있는 권리를 미리 사두는 것입니다. 그리고 예상대로 가격이 오르면 권리를 행사하는 것입니다.

 

 

어떤 주식의 가격이 100만 원이라고 가정합니다. A는 이 주식 1주를 갖고 있습니다. A가 보기에 이 주식은 가격이 크게 오르거나 내리지 않고 횡보할 것 같습니다. 반면 B는 주가가 오를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 주식을 사고 싶은데 당장 돈이 없습니다. 그래서 A는 B와 거래를 합니다. A는 B에게 일정 기간 뒤 주가가 얼마가 되든 이 주식 한 주를 100만 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5만 원에 팔게 됩니다. A가 B에게 '콜매도'를 한 것입니다.

일정 기간이 지났는데 주가는 여전히 100만원입니다. B는 주식 매수 권리를 행사할 이유가 없죠. 그래서 5만 원을 잃었습니다. 반면 A는 주가가 오르지 않았는데 5만 원을 벌었습니다

 

또 시간이 지나 주가가 102만원이 되었습니다. B는 손실을 조금이라도 만회하기 위해 권리를 행사합니다. 그래서 손실은 -5+2=-3만 원이 됩니다. A는 B에게 주식을 줘버렸기 때문에 주가가 오른 것에 대한 이익은 챙기지 못하지만 콜매도로 5만 원을 벌었습니다. 즉 콜매도 포지션에 있는 A는 주가가 변동 없이 그대로여도 돈을 벌고 약간 올라도 돈을 벌게 됩니다.

이번에는 주가가 많이 올랐다고 가정해봅니다. 주가가 200만 원이 되었습니다. B는 즉시 권리를 행사하여 100만 원에 주식을 가져오고 시장에 팝니다. 주식 차익 100만 원에 권리를 샀던 5만 원을 빼면 95만 원을 버는 것입니다. 반면 A는 주가가 이렇게나 많이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콜매도로 번 5만 원만 챙길 수 있습니다. 주식가격이 올라도 조금밖에 벌지 못하는 것이 콜매도 포지션의 중요한 특징입니다.

 


반대로 주가가 하락했을 때도 살펴봅니다.

주가가 95만원으로 떨어졌습니다. B는 당연히 권리 행사를 하지 않으니 5만 원 손실만 확정이죠. A는 갖고 있던 주식 가격이 5만 원이 떨어졌지만 콜매도로 받은 5만 원이 있으니 손실이 상쇄됩니다.

주가가 80만원까지 떨어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이때도 B는 당연히 권리 행사를 하지 않고 5만 원 손실을 봅니다. A는 100만 원의 주식이 80만 원이 되었으니 20만 원 손실에 콜매도 수익 5만 원 더하면 15만 원 손실이 됩니다. 주가가 어 떨어져 50만 원까지 되었다면 A의 손실은 45만 원까지 불어납니다. B는 여전히 5만 원만 손실이고요.

 

결론적으로 콜매도 입장에서 보면 주가가 엄청 오를 때 돈을 많이 벌지 못하고, 주가가 떨어질 때는 떨어지는 만큼 손실을 봅니다. 단, 주가가 엄청 오르거나 엄청 내리지 않고 일정 수준에서 옆으로만 간다면 계속 돈을 버는 구조입니다.

 

주가가 횡보할 때 그냥 주식만 가지고 있다면 별 소득이 없는데, 콜매도를 해서 엄청 큰 수익이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즉, 주가 변동성은 크면서 주가가 크게 상승하지 않았을 때 수익이 극대화되는 구조입니다.

 

 

JEPI 제피 장점

가장 큰 장점은 월배당, 고배당이라는 점입니다. JEPI 제피는 2023년 기준 시가배당률 8.4%를 기록했습니다. 높은 배당률이 가능한 이유는 개별 종목 배당금에 콜옵션 매도를 통한 ELN 이자 수익이 JEPI 제피의 현금흐름을 만들어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주식이 주는 배당은 그리 크지 않지만 콜옵션 매도를 통해 배당률이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JEPI 제피 한계

배당소득세 15.4%가 부과되며, 위의 예시를 통해 알 수 있다시피 상승장에서 돈을 벌지 못하는 구조입니다. 2020년 5월 30일에 상장해 기간이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장기 백테스트가 어렵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즉 JEPI 제피를 가지고 있으면서 주가 차익으로 돈을 벌기 보다는 가지고 있는 동안 고배당을 받는다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미국상장 커버드콜 ETF
JEPI, JEPQ, XYLD, QYLD

국내상장 커버드콜 ETF
KODEX미국S&P500배당귀족커버드콜(합성H), TIGER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TIGER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 TIGER미국배당+3%프리미엄다우존스